530 words
3 minutes
[BOJ] 모든 스택 수열
TimeLimit | MemoryLimit | Condition | TAG |
---|---|---|---|
2s | 1024MB | (1<= n <= 10) | BackTracking, Stack |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n이 주어졌을 때, 만들 수 있는 모든 스택 수열을 구해보자.
내가 이 문제를 처음에 ??? 이 문제 왜 골드냐 이러고 풀었다가 허헣 “어 머야 왜 이 코드가 예시랑 다르지?”
내가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까먹고 그냥 사전순으로 모든 조합을 해버린 것이다… 허허ㅓ허허허ㅓ헣
그래서 그것을 보고서 아 바꿔야하네 하고 좀 뜯어 고쳐서 나온 코드가 바로 이런데.. 사실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들어오는 것을 잘 이용하면 이 코드보다 뭔가 더 좋은 코드가 나오지 않을까 하지만 일단 시간이 12ms로 굉장히 빠르게 나온 편이라 또 N이 최대 10밖에 안 나오기 때문에 딱히 문제는 없을 것 같다. 애초에 문제가 브포 문제로 나온 것 같아서 ㅎㅎ
정답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
void solution(stack<int>& st, vector<int>& current, int next, vector<vector<int>>& result) {
if (current.size() == n) {
result.push_back(current);
return;
}
if (next <= n) {
st.push(next);
solution(st, current, next + 1, result);
st.pop();
}
if (!st.empty()) {
int top = st.top();
st.pop();
current.push_back(top);
solution(st, current, next, result);
current.pop_back();
st.push(top);
}
}
int main() {
cin >> n;
stack<int> st;
vector<int> current;
vector<vector<int>> result;
solution(st, current, 1, result);
for (int i = result.size() - 1; i > -1; i--) {
for (int num : result[i]) {
cout << num << " ";
}
cout << "\n";
}
return 0;
}
[BOJ] 모든 스택 수열
https://compy07.github.io/Blog/posts/boj/23284/